[김대호의 경제읽기] UBS, 크레디트 스위스 인수…"블랙먼데이 모면"<br /><br /><br />스위스 최대 금융기관인 UBS가 파산 위기에 놓였던 크레디트 스위스 은행을 인수하기로 전격 합의하며 세계 금융시장이 '블랙먼데이' 사태를 피할 수 있게 됐습니다.<br /><br />그간 시장을 뒤흔들었던 은행권 위기가 이제 마무리되는 건지 더 이상의 위험은 없는지 관심도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스위스 최대 금융기관인 UBS가 SVB 파산 여파로 위기에 빠진 크레디트 스위스를 인수하기로 했습니다. 세계 금융시장에 큰 충격이 우려되던 상황이었는데 일단 급한 불을 껐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'유동성 위기'를 겪고 있던 크레디트 스위스를 품은 UBS는 어떤 곳인가요?<br />UBS의 시가총액은 650억 달러, 크레디트 스위스는 80억 달러로 완전 합병될 경우 우리 돈으로 시총이 100조 원에 육박하는 '공룡 은행'이 탄생하게 되는데요. 세계 금융시장에 미칠 여파는 어떨까요?<br /><br /> 큰 위기는 넘겼지만 '은행발 위기'가 마무리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란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이런 가운데 유럽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0.5%P 인상하는 '빅 스텝'을 단행했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UBS의 크레디트스위스 인수에 환영 목소리를 내비친 미국 당국은 '투자의 귀재'로 알려진 워런 버핏 회장과 중소형 은행 투자와 관련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도 알려지고 있습니다. 버핏 회장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골드만삭스 투자에 나선 것처럼 구원투수로 나설까요?<br /><br /> SVB 파산 뒤 미국 은행들이 연준에서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규모인 215조 원 이상을 대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은행들이 앞다퉈 뱅크런에 대비하는 것, 여러 긴급 조치에도 미국 은행 시스템이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건 아닐까요?<br /><br />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사태 여파로 금융위기와 경기침체 리스크가 한층 커지며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에 대한 미국 연준의 딜레마도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. 당장 이번 주 FOMC에서 기로에 선 연준이 어떤 선택을 해야한다 보십니까?<br /><br /> 미국 정치권에서는 예금 보호 한도를 상향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. 현재 25만 달러, 우리 돈으로 약 3억 3천만 원인 한도를 올려 대규모 예금 인출을 막아야 추가적인 위기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는 건데 의견 어떻게 보십니까? 한도를 어디까지 올리느냐도 문제로 지적되는데 적정선은 어디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국내 정치권에서도 현행 5천만 원인 국내 예금자보호 한도를 상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불거지고 있습니다. 하지만 한도를 높이면 비용 부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인데요. 어떤 고민이 더 필요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